데이터베이스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정규화 데이터 정규화란 DB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다.데이터 정규화를 통해 데이터 중복이나 종속 관계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데이터 정규화에는 크게 3가지 단계가 있는데, 제 1정규화, 제 2정규화, 그리고 제 3정규화가 있다. 제 1 정규화정규화에 대한 설명을 찾아보았지만 빡통이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힘들었다. 필자가 제 1정규화에 대해 이해한 핵심은 하나의 컬럼에는 하나의 데이터만 담는 것이다.이에 대한 좋은 예시로 필자가 자주 보는 코딩애플형님의 영상이 있으니 시간나면 한번 씩 봐보길 권한다. 그렇다면 제1정규화를 왜 해야하는 걸까? 위에 예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나중에 DB에서 데이터를 찾고 싶을때, '골프 초급'을 신청한 사.. [데이터베이스] 인덱스(index) 데이터베이스에는 인덱스(index)라는 개념이 있다.배열에 사용되는 인덱스와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는 같은 이름을 사용하지만 그 의미와 역할은 다소 다르다.하지만, 둘다 데이터의 위치를 참조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배열에서의 index배열에서의 인덱스는 알다시피 배열 내에서 특정 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수이다.인덱스를 통해 우리는 배열에서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하고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에서의 index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는 배열의 그것과 사뭇다르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인덱스는 테이블 내 특정 열에 대한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 구조이자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23살에 해당하는 사람의 데이터를 알고 싶다면 하나하나 알아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