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입스크립트

(2)
[타입스크립트] type과 interface의 차이 타입스크립트로 처음 프로젝트를 하면서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정의해야할때 보통 type 혹은 interface를 사용하게 된다.그리고 사람마다 type과 interface를 쓰는 빈도가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는 것 같다.그래서 이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점과 자바로 프로그래밍에 입문한 사람의 관점에서 이 둘을 사용하는 경향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한다. type타입은 키워드에서 느껴지듯이 타입스크립트에서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정의할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문법이다.type Person = { name: string;};type User = Person & { age: number;};const user: User = { name: "Andrew", age: 27,}; 이런식으로 Person이라는 데이터타입..
[타입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에만 있는 타입들 (any, unknown, ...etc) 요즘 올라오는 채용공고를 보면 이제는 타입스크립트가 기본기의 일종이 되어버린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많이 포함되어 있다.자바스크립트는 본래 간단한 돔조작을 하기 위한 용도로 빠르게 개발되었고 유연함이 강점이었는데, 현대에서는 워낙 다양하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에도 쓰이다보니 이런 유연함이 발목을 잡는 시대가 온 것 같다고 느낀다. 자바스크립트로 프로그래밍에 입문한 주변 지인들은 대게 타입스크립트를 성가신 친구쯤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는 자바같은 정적 타이핑 언어로 프로그래밍에 입문했기에 이러한 흐름이 오히려 반갑게 느껴지기도 한다. 암튼 요새 좋은 기회로 타입스크립트 책을 선물받아서 읽을 기회가 생겼는데 이 참에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아름아름 기록해보고자한다. a..